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Ellectronics Shop
- Data Structure
- #nodejs#express
- Drawing Book
- 노드
- nodejs
- #nodejs#노드js
- Birthday Chocolate
- hackerrank
- Breaking the Records
- javascirpt
- Divisible Sum Pairs
- 자바스크립트
- 알고리즘
- Grading Students
- Javascript
- algorithim
- Apple and Orange
- Migratory Birds
- 짝수와 홀수
- 생활코딩
- Time Conversion
- alogrithim
- Between Two Sets
- 프로그래머스
- A Very Big Sum
- 자료구조
- Algorithm
- Sock Merchant
- Today
- Total
목록생활코딩 (16)
ian의 개발일기장
1. git config, git commit, git loggit config - git에 대해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항상 git을 시작할 때, 제일 먼저 설정해주어야 한다.git commit - git add로 index에 올라온 파일들에 대하여, 변경 내용을 local repository에 확정하기git log -repository에 커밋 히스토리를 시간순으로 볼 수 있다. 2. 예제git config user.name 이름 과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로 계정을 설정해주는것이 좋다. config와 user 사이에 --global을 쓰면 1번만 설정하면 된다. git config --list를 통해서 우리가 설정한 설정내역을 볼 수 있다. git commit -m 커밋메세지를 통..
1. vim 명령어파일생성 - vim 파일명.확장자vim f1.txt를 입력하면 f1.txt파일을 생성하면서, 그 파일로 들어간다. 입력 상태 만들기 - ii를 누르면 왼쪽밑에 INSERT가 뜨면서 f1.txt파일 안에 입력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우리는 souce : 1을 입력 하자. 저장후 종료 - :wq, 종료 - :q우선 입력 상태를 종료하려면, esc키를 누른다. 그 다음 우리가 입력한 소스를 저장하려면, : 누르고 wq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터미널로 돌아오게 된다. 폴더의 파일 목록 확인 - lsls를 입력하면, 우리가 있는 폴더에 파일목록들을 볼 수 있다. f1.txt.가 생성된 것이 확인된다. 파일 내용 확인 - cat 파일명.확장자cat f1.txt를 입력하면, 우리 파일의 내용을..
1. Git 저장소 만들기로컬 폴더를 만들어서 git init 이용하기다른 어디가에서 Git 저장소 clone하기두가지 방법이 있다. 2. Git init 이용우선 터미널로 들어가서 프로젝트폴더를 만들 Directory에 들어간다. mkdir + 폴더명을 입력하면 위에 명령어대로 gitfth라는 폴더가 생성된다. cd + 폴더명을 입력하면, 그 폴더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우리는 gitfth라는 폴더로 터미널이 이동했다.git init을 입력하면, 이 폴더에서 내가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git에게 알려주는 것이다.입력 후, git 저장소를 초기화 했다는 말이 나온다. 3. Git clone 이용위에 init처럼 터미널에서 작업할 폴더를 만들 Directory로 들어간다.Git hub에 로그인 후, New..
1. 다운로드https://git-scm.com/downloads링크로 들어가서 OS에 맞게 다운받아서 설정하거나, Git 공식문서를 보고 설치해도 좋다. 2. MacMac은 xcode를 받으면, git이 자동으로 설치되어 있다. 아니면 homebrew를 이용해서 설치를 하자.Mac에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다면, 터미널에 brew install git을 입력해주면 된다. 출처 - 생활코딩
1. 정의Git은 Version Control System이며,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예전에는 파일을 수정하고 업데이트 할 때, 파일을 복붙해서 여러개 만든 후, 보통 파일 폴더명에 날짜를 붙여서 버전을 관리 했다. 하지만 여러사람과 협업을 하기위해 Git이 만들어졌다. Git은 리모트 저장소가 존재하며, 히스토리와 함께 저장소자체를 복제한다. Git은 Linux 소스코드 관리를 위해 개발 되었다. 소스 코드가 변경된 이력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 가거나 저장된 버전을 비교 할 수 있다. 2. Git의 핵심기존 버전관리시스템이 첫번째 사진이고, 아래사진이 Git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에 있다. 기존 시스템은 관리하는 정보가 파일들의 목록이고, Git은..
1. HTTP란?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웹의 창시자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와 그가 속한 팀은 CERN에서 HTTP를 발명 했습니다. 2. 작동방식HTTP는 Server/Client 모델이며, 개별적인 메시지교환을 통해 통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을 돌려준다.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세지를 Request(요청)라고 부르며, 그에 대해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세지를 Response(응답)라고 부른다. 크롬에서 개발자도구를 키고 Network탭으로 간 다음, 위에 주소로 접속을 해보자.HTTP Header에 메세지를 담아 클라이언트가 요청..
1. 만들어 볼 것.글 목록 - topic/글 상세 보기 구현 - topic/:id글 추가 기능 구현 - topic/add글 편집 기능 구현 - topic/:id/edit글 삭제 구현 - topic/:id/delete 2. 글 목록지난번에 생성했던, app_file.js를 복사해서, app_mysql.js을 생성한 후, 위의 코드를 템플릿엔진 사용하는 곳 밑에 추가해준다. 우리가 만들 것은 글 목록을 보는 것이므로, /topic의 라우터를 수정 할 것이다. fs를 이용한 부분은 삭제하고, sql을 이용한 쿼리를 추가해주고, 서버를 키고, http://localholst:3000/topic 로 들어가면, 지난번에 저장한 db의 테이블이 배열로 나온다. 배열안의 객체는 테이블의 rows를 가리킨다. 기존에 ..
1. MySQL 소개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웹에서 성공MariaDB - MySQL과 호환가능 2. MySQL 설치 - 맥(OS X)bitnami 이용 MySQL에서 홈페이지 다운homebrew를 이용한 설치homebrew를 이용해서 설치해보자. 1. MySQL 설치 - 터미널에 brew install mysql 입력 2. MySQL 시작 - 터미널에 mysql.server start 입력3. root 비밀번호 설정 - 터미널에 mysql_secure_installation 입력 터미널에 입력을 하면 여러가지 설정들이 뜬다.복잡한 비밀번호 설정을 위한 과정을 거칠 것인가? 저는 no로 대답.root 비밀번호 입력 및 확인 - 개인비번 입력익명 사용자를 삭제할 것인가? 저는 yes (mysql -uroot..
1.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오는 것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 즉, 작성된 목록으로써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 2. 데이터베이스의 종류관계형 데이터베이스대표적인 제품들 - Oracle, MySQL, SQL SERVER공통적으로 언어를 SQL을 사용.관계형 데이터베이스부터 배우는 것이 좋음. 아무튼 꼭 알아야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것현대세계가 복잡해지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들이 가진 모델로 표현불가능.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들이 출현.NoSQL이 출현. 3. 만들어 볼 것 출처 - 생활코딩, 위키피디아(한글)
1. 파일 업로드 준비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을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것을 만들어 볼 것. express에서는 따로 제공하지 않아서, 모듈을 사용해야한다.그것은 바로 multer, 사용법은 링크로 들어가보면 나와있다. 우선 설치는 npm 모듈을 이용해야 한다. 2. 파일 업로드 양식(form)/upload 라우터로 접속 할 때, 업로드창이 뜨도록 설정하기. 1. 기본 틀 작성 후, 라우터 설정.유저가 /upload로 접속했을 때 와 파일을 전송후 접속되는 get과 post 라우터를 위와 같이 설정해준다. 템플릿 엔진을 이용하기위해 다른코드도 입력했다. 2. 템플릿 엔진 작성views_file 폴더에서 템플릿 파일을 사용할것이므로, views_file 폴더에 upload.pug를 만들어서, 위와같이 입력해보자..